1. 이거면 프로그래밍에 모든것이 해결된다. 포트폴리오 작성 + 구글링 + 디버깅 이걸 못하는 프로그래머는 성장이 불가능하고, 정해진 업무이외에는 수행 할 수 없다. 게임회사에서는 지정업무가 일반적이지 않아서 어떤 주제든 해낼수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사람을 필터링하게된다. -> 학원에서만 배운학생일 경우 적정한 경험치 및 지식을 쌓았더라도, 과열경쟁속에서 학력으로 필터링 될가능성이 높음. 2. 컴퓨터공학은 인터넷에 검색만해봐도 필요한정보는 솓아진다. 그러나 스스로하지 않으면 지식에서 끝난다. 이것을 강의로 진행시에, 스스로 학습하는 학생과 학습하지않는 학생의 문제점에 학습격차가 크게 발생한다. 이를 스스로 학습하는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진행하게되면, 학습을 하지않는 학생들은 서서히 흥미를 잃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학생들을 두면 환불을 하거나 다른 길을 찾으나, 그역시도 해당 분야에 똑같은 문제로 시간만 보내게된다. (물론 본인의 적성이나 흥미가 맞는 경우 해당 방법으로 자신의 길을 찾을수 있다.) 3. 프로그래밍은 재능이 없다. 약간의 컴퓨터사용능력은 결과에 영향을 미칠수있으나, 컴퓨터에 관심을 가지고 다루지않으면 관련지식자체를 일반 교육과정에서 배울 일이 적다. 혹은 배운다하더라도, 흥미가 없는 경우 지속적인 경험으로 연결되지않아 쉽게 잊어버린다. *재능: 먼저 선행학습하거나 자신의 생활에서 관련된 것들을 접하게 되는 것. 4. 게임프로그래밍에서 수학은 재능이다. 프로그래머 중에서 높은 지식수준을 요구하는 그래픽스의 경우, 학생의 수학적 지식과 비례하여 학습속도가 결정된다. 그러니 이러한 수학적 재능은 학교에서 먼저 길러지는 경우가 많다.(실제 등수가 높은것과는 관련이 없을수도있음) 5. 타인과 소통도 재능이다. 프로그래머도 자신의 한계에 부딧혔을때 극복방법을 자신에게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타인에게 정답을 요구하지않으며, 자신의 문제점을 찾을수있는 의사소통능력을 반드시 길러야한다. 결국 시간이 많다면 언젠가는 해결할수있지만, 짧은기간안에는 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