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드라이브 용량부족시 대처법

 [c드라이브 용량부족시 대처법] -트리사이즈 설치 및 폴더 및 파일 크기 모니터링(여기에 사용되는 local에 앱용량이 많은 앱부터 순서대로 제거) -카카오톡 > 설정 > 채팅 > 미디어캐시관리 -불필요한 이전버전 window sdk 삭제(문제 발생여부 장기적으로 체크 필요) -시스템 > 저장소 > 불필요한 앱제거 -appdata/local/temp 파일삭제. (삭제 불가능할 경우 건너뛰기) -엣지브라우저 > 설정 > 개인정보 검색 및 서비스/검색데이터 지우기

[Gemin/요약]Unity 셰이더 배리언트 최적화 및 문제 해결 팁

https://unity.com/kr/blog/engine-platform/shader-variants-optimization-troubleshooting-tips 셰이더 배리언트 최적화 핵심 방법 1. shader_feature 적극 사용하기 #pragma multi_compile 은 머티리얼에서 사용되지 않아도 모든 조합을 빌드에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pragma shader_feature 는 프로젝트 내 머티리얼에서 단 한 번이라도 사용된 조합만 빌드에 포함 시킵니다. 따라서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항상 shader_feature 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최적화입니다. 2. 불필요한 조합 명시적으로 제외하기 셰이더 코드 내에서 특정 키워드 조합이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거나 절대 사용되지 않을 경우, #pragma skip_variants 지시어를 사용해 해당 조합은 만들지 말라고 명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WET_EFFECT (젖음 효과)와 ON_FIRE (불타는 효과) 키워드가 동시에 켜지는 경우는 없다고 선언하는 것입니다. 3. 동적 분기(Dynamic Branching) 활용하기 성능이 허락하는 최신 GPU에서는 여러 배리언트를 만드는 대신, 셰이더 코드 안에 if 문을 사용하여 동적으로 코드를 분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배리언트(하나의 도장)**가 여러 상황을 데이터(잉크)에 따라 다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분기문은 성능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4. ShaderVariantCollection으로 필요한 배리언트 관리하기 이것은 "우리 게임에서 필요한 배리언트는 이것들이니, 이것들만 확실히 빌드에 포함해 주세요"라고 명시하는 '필수 배리언트 목록' 에셋입니다. 동적으로 생성되는 머티리얼처럼 빌드 시점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배리언트가 누락되지 않도록 보장하면서, 동시에 목록에...

[AI서칭/요약/퍼플렉시티검색/제미나이요약/AI생성물저작권]안개가 점차 걷히고 있습니다.

 https://www.kwm.com/cn/zh/insights/latest-thinking/copyrightability-of-ai-generated-works-in-the-us-and-typical-cases.html 미국과 유럽연합(EU)에서 AI 생성 콘텐츠의 저작권 인정 여부는 인간의 창의적 기여와 통제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래는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한 주요 내용입니다. 미국 저작권 인정 기준 미국 저작권청(USCO)은 인간의 창의적 기여가 포함된 경우에만 AI 생성 콘텐츠에 저작권을 인정합니다. 구체적인 사례: 인간이 작성한 콘텐츠가 AI 출력물에 통합된 경우. AI 결과물을 수정하거나 배열하는 등 인간의 창의성이 충분히 표현된 경우. 최종 표현을 인간이 결정한 경우 1 3 5 . 단순 명령은 저작권 보호 불가 단순히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하거나 AI가 자동으로 생성한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MidJourney나 DALL-E로 생성된 이미지는 보호받지 못하지만, 이를 편집하거나 재구성한 경우는 저작권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3 7 . 법적 입장 USCO는 기존 저작권법이 AI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충분하며, 추가적인 입법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5 7 . 유럽연합(EU) AI 생성 콘텐츠와 저작권 보호 EU는 "인간 창작성"을 기준으로 AI 보조 도구를 활용한 창작물만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명확히 규정합니다. 순수하게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며, 인간이 창작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개입해야 합니다 2 4 6 . DSM Directive와 데이터 마이닝 규정 EU는 Directive 2019/790(EU DSM Directive)을 통해 데이터 마이닝의 법적 정의와 예외를 명시하며, AI 학습 데이터 사용 시 저작권 침해 가능성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4 6 . AI 보조 도구 활용 사례 인간이 AI 결과물을 선택, 수정, 재구성하는 경우 저작권 보호 가능...